영유아 영양제 지원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구례군 |
---|---|
부서명 | 보건의료원 |
신청방법 | ○ 방문 신청 ○ 온라인 신청 |
신청기한 | 상시신청 |
지원내용 | ○ 관내 거주 만4세 영유아 영양제 지원 |
지원유형 | 현물 |
지원대상 | ○ 관내 거주 영유아(만 4세)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7000000128 |
기초수급자 생일떡 지원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구례군 |
---|---|
부서명 | 주민복지과 |
신청방법 | ○ 방문 신청 – 주민센터 : 해당 읍면사무소 및 주무부서 방문신청(구비서류: 수급자증명서, 신분증) |
신청기한 | 상시신청 |
지원내용 | ○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생일떡 지원 |
지원유형 | 현물 |
지원대상 | ○ 홀로 생활하는 수급자 가구 지원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7000000129 |
신생아 백일사진 촬영권 지원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고흥군 |
---|---|
부서명 | 여성가족과 |
신청방법 | ○ 온라인 신청 – 정부24 : http://www.gov.kr ○ 방문 신청 |
신청기한 | 상시신청 |
지원내용 | ○ 신생아 백일사진 촬영권 지원(20만원 상당) 유효기한: 출생일로부터 6개월 사진규격: 11*14사이즈 3장 |
지원유형 | 이용권 |
지원대상 | ○ 출산일 현재 부 또는 모가 고흥군에 주소를 둔 출산가정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8000000103 |
축산농가 수분조절재(톱밥) 지원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구례군 |
---|---|
부서명 | 농정과 |
신청방법 | ○ 방문 신청 – 주민센터 : 읍면사무소를 통해 신청서 작성 제출 |
신청기한 | 년초 3월 ~5월사이 사업추진계획서 공문 시행 후 |
지원내용 | ○ 수분조절재(톱밥) 지원 – 1톤 20만원 기준, 보조 50%, 자담 50% |
지원유형 | 현물 |
지원대상 | ○ 구례군 관내 한우 사육 농업인 및 농업법인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7000000102 |
신혼부부·다자녀가정 보금자리 지원사업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곡성군 |
---|---|
부서명 | 인구정책과 |
신청방법 | ○ (신청주체) 신청자 본인 직접 신청함을 원칙으로 하되, – 본인 방문이 어려운 경우 가족(부모, 배우자, 형제)에 한하여 대리 접수 가능하며 위임장 제출 ☞ 위임장 제출 시 첨부서류 ○ (신청방법) 평일 근무시간 내(09:00~18:00) 방문 신청 |
신청기한 | 상시신청 |
지원내용 | ○ 곡성군에 거주하는 무주택 신혼부부와 다자녀가정을 대상으로 주택구입에 따른 대출이자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 – 일정 자격요건을 갖추고 곡성군 주택을 구입한 가구에 대하여 주택구입 대출이자 납부액(월 최대 15만 원), 36개월간 지원 |
지원유형 | 현금 |
지원대상 | ① (주 소) 신청일 기준, 가구 구성원 모두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곡성군 – 신청자는 곡성군 소재 주택을 구입하고, 그 주택에 주소를 두어야 함 – 나머지 가구 구성원(배우자 및 자녀)은 전남도에 주소가 있으면 신청 가능 ② (무주택) 세대주 본인 및 가구 구성원(배우자 및 자녀) 모두가 무주택 – 무주택이란 지원대상 주택 외에 다른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것을 의미 – 국토교통부의 주택전산망 조회 결과 유주택자로 판명되더라도 신청일 기준 해당주택을 처분한 것이 공부상 입증되거나 한국주택금융공사 신청대상 자격요건 중 [무주택으로 보는 경우]에 해당하면 무주택으로 간주 ③ (사업대상) 한국주택금융공사 등 다음 지원대상 상품의 대출심사를 통과한 신혼부부 또는 다자녀가정 – 지원대상 상품: 한국주택금융공사(u-보금자리론, 아낌e 보금자리론, t-보금자리론, 디딤돌), 도시주택보증공사(디딤돌), 은행(디딤돌) – 신혼부부(결혼예정자) : 혼인신고 이후, 주택을 구입한 신혼부부로 혼인관계증명서상 혼인신고일이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출심사 신청일로부터 7년 이내이고, 부부 모두 만 49세 이하인 경우(한국주택금융공사 대출실행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혼인신고 할 결혼예정자도 인정) – 다자녀가정 :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출심사 신청일 기준, 미성년 자녀가 2명 이상이고, 자녀 중 1명은 만12세 이하인 경우 ④ (소득기준) – 신혼부부 : 부부합산 연소득 85백만 원 이하 – 다자녀가정 : 부부합산 연소득 1억 원 이하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6000000133 |
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(학자금, 생활용품비)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고흥군 |
---|---|
부서명 | 여성가족과 |
신청방법 | ○ 방문 신청 – 주민센터 :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|
신청기한 | 상시신청 |
지원내용 | ○ 한부모가족 대입자녀 신입생 학자금 지원 : 저소득 한부모가족 자녀 중 대학 신입생 1인당 최대 150만원 학자금 지원 ○ 한부모 장애가정 생활용품비 지원 : 저소득 한부모 장애가정 대상으로 가전제품 구입비 지원 |
지원유형 | 현금 |
지원대상 | ○ 한부모가족자격(모자가정, 부자가정, 조손가정, 청소년한부모, 미혼한부모)
* 한부모가족 지정 1년 경과 장애가정 중 최근 5년 이내 생활용품을 지원받지 않았고,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8000000132 |
벼 재배농가 경영안정대책비 지원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구례군 |
---|---|
부서명 | 농정과 |
신청방법 | ○ 방문 신청 – 주민센터 : 읍면사무소를 통해 신청서 작성 제출 |
신청기한 | 11월 |
지원내용 | ○ 2021년 기준 농가당 376,000원, 1ha당 285,000원 지원 |
지원유형 | 현금 |
지원대상 | ○ 해당년도 기준 구례군에 주소를 두고 도내 농지에서 직접 벼를 재배하여 쌀을 생산한 농가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7000000139 |
맘(Mom) 편한 산후조리 지원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고흥군 |
---|---|
부서명 | 여성가족과 |
신청방법 | ○ 방문 신청 – 주민센터 :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|
신청기한 | 아이 출생등록일부터 3개월 이내 |
지원내용 | ○ 산후조리원 이용 비용 지원 – 관내 분만 시 이용금액의100%, 최대 200만원 지원 – 관외 분만 시 이용금액의 30%, 최대 30만원 지원 공공산후조리원 조리비용 감면과 중복지원 불가 |
지원유형 | 현금 |
지원대상 | ○ 출산일 현재 고흥군에 주소를 둔 산모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8000000107 |
장수노인 생신떡 지원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구례군 |
---|---|
부서명 | 주민복지과 |
신청방법 | ○ 방문 신청 – 주민센터 : 해당 읍면사무소 방문신청(신분증 필요) |
신청기한 | 상시신청 |
지원내용 | ○ 읍면사무소담당자 생일 전날 축하 떡 상자(25,000상자) 직접 전달 |
지원유형 | 현물 |
지원대상 | ○ 장수노인 만 90세 이상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7000000115 |
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
소관기관명 | 전라남도 곡성군 |
---|---|
부서명 | 주민복지과 |
신청방법 | ○ 신청 및 접수 : 읍·면사무소 – 신분증과 구비서류를 지참하여 방문 ※ 건강보험증 사본,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– 신청권자 : 이용자 또는 보호자, 친족 및 그 밖의 관계인 (위임장 지참) |
신청기한 | 상시신청 |
지원내용 | ○ 서비스 소외 가정 통합사례관리서비스 -소외가정 아동의 학습지도, 멘토링, 놀이 치료 등 제공 -소득기준: 기준 중위소득 140%이하/ 연령기준: 만 18세 이하 -서비스가격: 월 180천원(정부지원금 16,000원/본인부담금 20,000원) ○ 영유아 발달지원서비스 ○ 아동ㆍ청소년 정서발달지원서비스 <노인 사업> ○ 판소리 건강 100세 추임새 ○ 농어촌 및 도서(섬) 노인신활력 삶의 질 증진 서비스 ○ 행복한 삶을 위한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(자살 위험군 예방 서비스) ○ 노인맞춤형 운동처방서비스 |
지원유형 | 기타 |
지원대상 | ○ 지원 대상 : 기준 중위소득 140% 이하(단, 지자체 및 서비스에 따라 상이) ※ 시・도 또는 시・군・구에서 소득기준 및 소득구간별 본인 부담금 차등 적용 가능 ○ 연령 기준 : 서비스별 상이 ※ 2023년 기준중위소득 140% 기준 |
선정기준 | |
상세조회URL | http://www.gov.kr/portal/rcvfvrSvc/dtlEx/486000000137 |